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無)의 힘 / 베르나르 베르베르
    [book in book] with_a 2020. 7. 24. 01:45

    무(無)의 힘



      인간은 오랫동안 진공을 두려워했다. <호로르 바쿠이(진공에 대한 공포)>라는 라틴어 표현이  

    사하듯, 진공은 고대의 학자들에게 순전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관념이었다.

      

      진공의 존재를 가장 먼저 언급한 학자들 가운데 하나인 데모크리토스는 기원전 5세기에 우리가 

    물질이라고 여기는 것은 텅 빈 공간에 떠 있는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파했다. 아리스토

    스는 그런 견해에 맞서 <자연은 진공을 싫어한다>라는 명제를 내세웠고, 한발 더 나아가 진공이 

    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제는 1643년 갈릴레이의 제자였던 에반

    젤리스타 토리첼리가 간단한 실험을 통해 진공의 존재를 증명할 때까지 무려 2천 년 가 까이 유지

    되었다.


      토리첼리는 길이 약 122센티미터의 유리관을 수은으로 채운 다음 수은이 담긴 그릇 안에 거꾸로

    세웠다. 그러자 유리관 속의 수은이 내려가면서 위쪽에 텅 빈 공간이 생겨났다. 수은 때문에 공기가

    유리관 속으로 들어갈 수 없었으므로 이 공간은 진공일 수 밖에 없다. 이로써 토리첼리는 최초로 지

    속적인 진공을 만들어 낸 과학자가 되었다. 그는 같은 실험을 되풀이하다가 수은 기둥의 높이가 매

    일 변화하는 것을 보고 그것이 대기압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 실험은 수은 기압

    계의 발명으로 이어졌다.


      그로부터 몇 해 뒤에 독일의 물리학자 오토 폰 게리케는 최초의 진공 펌프를 만들었다. 그는 대기압

    과 진공에 관한 유명한 실험을 벌이기도 했다. 구리로 만든 두 반구를 꼭 맞추어 밀착시키고 한쪽 반

    구에 달린 밸브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나자 16마리의 말을 양쪽으로 나누어 끌어당겨도 두 반

    구를 서로 떼어 낼 수 없었다. 이로써 게리케는 진공을 이용해서 두 개의 커다란 물체를 단단하게 결

    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텅 비어 있음은 동양 사상의 중요한 개념이기도 하다. 힌두교와 뷸교에서는 모든 중생의 미혹한 생

    을 벗어난 상태를 일컬어 진공이라고 한다. 노자 역시 <바퀴살 서른 개가 한데 모여 바퀴통을 이루

    데 그 한복판이 비어 있음으로 해서 수레가 쓸모를 지니게 된다>라고 무의 효용을 역설했다.


      현대의 물리학자들은 우주의 총 에너지 가운데 70퍼센트는 진공 속에 있고 30퍼센트만이 물질 속

    에 있다고 추산해 냈다.


      아인슈타인은 일찍이 우주의 진공에 주목했고 진공 에너지의 존재를 언급했다. 물리학자 플랑크와 

    이젠베르크 역시 진공에 관심을 갖고 연구했다. 1948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헨드릭 카시미르는

    진공 속에 두 개의 금속판을 서로 마주 보도록 가까이 놓으면 대단히 미세하게나마 금속판들이 서로 

    끌어당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진공 상태에서는 <카시미르 힘>이 생겨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1990년대에 미국 항공 우주국은 카시미르 힘을 이용한 우주선이 태양계를 벗어날 수 있는 최초의 

    우주선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그것을 제작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천문학자들은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하여 우주 물질의 대부분을 이루는

    암흑 물질의 존재를 입증할 만한 증거를 찾아냈다.

      오늘날 진공 에너지는 천체 물리학의 첨단 연구 분야 가운데 하나로 간주된다. 한 이론에 따르면

    진공이 물질을 만들고 따라서 빅뱅이 바로 <무>에서 비롯되었을 수도 있다고 한다.



    이것은 신보다 우월하고, 악마보다 나쁘다.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있고.

    부자들에게는 이것이 부족하다.

    만약 사람이 이것을 먹으면 죽는다.

    이것은 무엇일까?


    <베르나르 배르베르, 신>



      베르나르 베르베르 책에는 위와 같은 질문이 등장한다. 이 질문에 정답을 찾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신

    다 우월한 존재와 악마보다 나쁜 존재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모순의 지점에 다다르게 된다. 신 위의 군림

    는 신과 악마보다 더 사악한 악마를 등장시키는 것은 신과 악마의 절대성을 전복시키는 행위이다. 그러

    로 정답은 침묵 뿐이다.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없는 것이 참 많다. 처음부터 아무 것도 갖지 못한 사람이기 보다는 없는 것에 순응

    한 사람이다. 역으로 부자들은 없는 것을 탈출하려는 자들이다. 그들은 무에서 유로, 무가치에서 유가치의

    삶으로 변화하려는 사람들이다.


      마지막으로 사람은 무(無)를 먹으면 죽는다. 삶이라는 것은 '살아있다'는 뜻이다. 삶이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라고 한다면 삶은 가치를 잃는다. 육체적으로 살아있더라도 그것은 죽은 것과 다를 바 없다.


      모든 것의 시작은 무(無)였다, 무에서 빅뱅이 일어났든, 무에서 신이 천지를 창조했든지 간에 그 시작은 무

    였다. 가장 원초적인 것이자 가장 근본적인 힘인 것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